Git · GitHub27 [깃/한줄정리] 프로젝트 만든 후에 깃허브 저장소 만들고 연결하기 1. 깃허브에 새로운 리포지토리 생성하기 2. 프로젝트로 디렉토리로 돌아가서 터미널 실행하기 3. git init으로 해당 프로젝트 버전관리 시작하기 4. git add .로 전체코드 stage에 올려주기 5. git commit 후 커밋 메세지 작성해주기 6. git remote add orgin 를 입력해 커밋한 코드 리포지토리 주소에 연결해주기 7. git push origin main으로 리포지토리에 커밋한 코드 올려주기 2022. 8. 19. [깃] 깃 용어, 명령어 총정리 깃 용어 정리 명령어 의미 버전관리 프로젝트 상태가 변경되는 정보를 알고 있는 것으로 Git은 버전관리 도구중에 하나로 commit을 사용해 버전이 달라지는것을 관리한다 repository (리포지토리 / 저장소)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 저장소 줄여서 리포라고 부른다 local repository (로컬 저장소) 내 컴퓨터가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 저장소일때 로컬 저장소라고 한다 remote repository (원격 저장소) 깃허브처럼 다른 곳에서 접속할 수 있는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 저장소를 말한다 tracking (추적) 로컬 repo와 원격 repo를 브랜치 단위로 연결하는 것 origin push할 원격 저장소(HTTPS)의 이름 branch 특정 커밋에서 갈라져나와 독립적으로.. 2022. 4. 12. [깃] 깃 설치 확인 방법 아래의 코드를 터미널에 입력했을때 깃이 설치 되었다면 깃의 현재 버전 출력된다. git -v git --version 2022. 4. 7. [깃] 깃 처음시작할 때 반드시 해줘야하는 환경설정 유저이름 설정하기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메일 주소 설정하기 git config --global user.email 터미널에서 사용할 기본 에디터 설정하기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vim 2022. 4. 7. [깃] 깃 커밋 메시지 컨벤션 (깃 메세지 작성법) 커밋 메세지 구조 (commit message structure) 커밋유형: 제목 body Footer 커밋 유형의 종류 feat: 새로운 기능 추가 fix: 버그 수정 docs: 문서 수정 style: 스타일 관련 코드 (코드 포맷팅, 세미콜론 누락, production의 변화가 없는 경우) refactor: 코드 리펙토링 (잘돌아가는 코드를 더 좋은 코드로 만드는 작업 (enhancement) ) test: 테스트코드 커밋 메세지는 영어로 작성한다 문장은 명령어로 작성한다 (과거형 복수형을 사용하지 않는다) 커밋 메세지 구조 1. 제목 (필수) 커밋유형: 뒤에 한칸 띄우고 제목을 적어준다 제목은 대문자로 시작한다 제목에 마침표를 붙이지 않는다 50글자 이내로 작성한다 어떻게가 아닌 무엇과 왜를 설명한.. 2022. 4. 7. [깃/한줄정리] README.md 파일이란? 프로젝트와 Repository를 설명하는 문서 2022. 4. 7. [깃] 커밋 메세지 작성시 필요한 커밋 유형(prefix) 정리 깃에서 커밋 메세지를 작성할 때는 다른 개발자가 알아보기 쉽도록 커밋 유형(prefix)을 맨 앞에 넣어준다. prefix: 커밋 메세지 내용 이슈번호와 함께 작성할때 #이슈번호 prefix: 커밋 메시지 내용 커밋 유형의 종류 docs : 문서 작업 README.md feat : 새로운 기능 구현 최소 단위 conf : 설정 파일 관련 패키지, 라이브러리 추가 asset : 이미지 소스 추가 design : css 작업 style: 코드 포맷팅 작업 rename : 파일 또는 폴더 이름 변경 remove : 파일 삭제 chore : 주석 변경 및 삭제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성능, 가독성) 의미나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가독성, 재사용성 또는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현재 코드를 재.. 2022. 4. 7. [깃] 깃 올바른 사용법 (안좋은 습관) 1. git commit -m “message” 쓰지 않기 플래그를 사용해 바로 메세지를 작성하게 된다면 깃메세지를 대충 작성하는 습관이 생긴다. git commit 후 vim에서 메세지를 작성하자. 2. 깃 메세지를 반드시 영어로 작성 원격 저장소에 올라가는 코드는 전세계에 공유가 되는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깃 메세지를 영어로 작성하자. 3. GUI 대신 CLI 사용하기 GUI(Sourcetree, GitKraken, GitHub Desktop 등)는 확인하는 용도로만 사용하자. 4. git add . 쓰지 않기 모든 파일을 stage에 올리는 깃 명령어 git add . 또는 git add all보다는 파일명을 작성해 커밋해줄 작업단위를 세분화하는 습관을 들이자. (한번에 커밋하지 않기, 커밋할 파일 .. 2022. 4. 7. [깃/한줄정리] .gitignore파일이란? git이 파일을 추적할 때 어떤 파일이나 폴더 등을 추적하지 않도록 명시해주는 파일 git init 명령어로 프로젝트 버전관리를 시작할때 제외하고 싶은 파일이름을 명시한다 .gitignore 파일 예시 .cache/ dist/ node_modules/ 2022. 4. 7. [깃] pull request란? fork란? ⚠️ 이 포스팅은 핵심 쏙쏙 Git을 공부하고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 포스팅에 해당하는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3주차 3-2 내 작업을 반영해주시겠어요? - PR 01 3-3 내 작업을 반영해주시겠어요? - PR 02 PR(Pull Request)란? branch에서 작업한 내역을 바로 merge하지 않고, 프로젝트에 내 작업(branch)을 merge해달라고 요청(request)을 먼저 보내는 것 PR을 하면서 작업한 내용에 대해 코드 리뷰를 받을 수도 있고 같이 토론하면서 프로젝트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프로젝트 기준에 맞지 않는다면 PR은 거부될 수도 있다 PR이 완전히 종료되기 전까지 추가적인 요청이 있을 수 있으므로 PR이 완료되기 전까진 PR 요청을 한 로컬 브랜치를 삭제하면 안된다 .. 2022. 4. 6. [깃] merge conflict란? 병합할때 발생하는 merge conflict 해결하기 ⚠️ 이 포스팅은 핵심 쏙쏙 Git을 공부하고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 포스팅에 해당하는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2주차 2-9 충돌 해결하기 - Merge conflict - 개념과 준비 merge conflict란? 브랜치를 병합하는 과정에서 같은 파일에 동일한 부분이 수정되서 발생하는 병합충돌을 의미한다. merge conflict가 발생하는 과정 1. 하나의 파일을 여러 브랜치에서 수정한다 2. 여러 사람이 작업한 파일을 같은 branch에 merge하려고 할 때 merge conflict가 발생한다 3. 하나의 파일에 서로 다른 내용이 수정되었기 때문에 git은 어떤 내용을 반영해야할지 스스로 정할 수가 없으므로 충돌이 난 코드를 포함한 파일을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merge conflic.. 2022. 4. 6. [깃] git issue, branch, merge 정리 ⚠️ 이 포스팅은 핵심 쏙쏙 Git을 공부하고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 포스팅에 해당하는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2주차 2-2 누가 이 작업할 거에요? - Issue 할당 2-3 각자 공간에서 작업하기 - Branch - 개념 2-6 작업 내용 합치기 - Merge(병합) -개념 프로젝트를 여러 사람과 함께 작업할때는 일을 분담하여 각자 코드를 작성한 뒤 나중에 합쳐주는 절차를 가진다. 1단계: 누가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 정한다 (issue) - issue 생성한 뒤 task를 나눈다 2단계: 맡은 task를 개인 공간에서 작업한다 (branch) - issue별로 새로운 branch를 만들어 각자 공간에서 작업한다 3단계: 각자 일하고 있던 작업을 하나로 합친다 (merge) - 사용한 br.. 2022. 4. 6. [깃 플로우] git flow 사용법 완벽정리 깃 플로우의 사용법을 익히기 전에 깃 브랜치의 5가지 종류(main, develop, feature, release, hotfix)의 역할을 잘 모른다면 👉 [깃 플로우] 깃 브랜치의 5가지 종류의 역할 설명 (main, develop, feature, release, hotfix) git flow 시작전 1. 리포지토리 클론하기 git clone 2. 클론 잘되었는지 확인하기 원격 리포지토리의 주소가 맞는지 확인하자. git remote -v 3. 해당 리포지토리 안으로 들어가기 cd 4. git flow 설치하기 macOS: Homebrew brew install git-flow-avh macOS: Macports port install git-flow-avh Linux apt-get install .. 2022. 4. 4. [깃 플로우] 깃 브랜치의 5가지 종류의 역할 설명 (main, develop, feature, release, hotfix) 계속 유지되는 깃 브랜치 (Regular Git Branches) main 브랜치와 develop 브랜치는 계속 유지가 되는 브랜치로 두개의 브랜치는 항상 같은 코드를 공유하고 있어야한다. 1. main 제품으로 출시될 수 있는 브랜치 2. develop 다음 출시 버전 개발을 위해 사용되는 브랜치 기능 개발을 위한 브랜치인 feature를 병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브랜치 모든 기능이 추가되면 출시될 수 있는 브랜치인 main에 병합한다 임시로 생성되는 깃 브랜치 (Temporary Git Branches) 1. feature 새로운 기능 개발이나 버그 수정을 할 때 사용되는 브랜치 develop 브랜치로부터 파생된 브랜치 로컬에서 개발한 후 개발이 완료되면 develop 브랜치로 병합하여 remote r.. 2022. 4. 4. [깃/깃허브] 깃허브에서 깃 플로우(git flow) 보고싶을때 리포지토리 > Insight > Network 2022. 4. 1. [깃/한줄정리] git push origin main에서 origin이란? push할 원격 저장소(HTTPS)의 이름 2022. 4. 1. [깃/한줄정리] 업스트림(upstream)과 다운스트림(downstream)이란? 업스트림 로컬 리포지토리(클라이언트)에서 원격 리포지토리(깃허브)로 보내는 것 local에서 origin으로 push한다 다운스트림 원격 리포지토리(깃허브)에서 로컬 리포지토리(클라이언트)로 보내는 것 origin에서 local로 pull한다 2022. 4. 1. [깃/한줄정리] 깃과 깃허브의 차이점 깃은 툴이고 깃허브는 원격 저장을 제공해주는 웹서비스다 갓은 버전 컨트를 시스템을 해주는 도구이고 깃허브는 클라우드 원격 저장소이다 2022. 4. 1. [깃/한줄정리] 깃에서 체크아웃(check out)이란? 체크아웃(check out) 현재 작업할 브랜치로 바꿔주는것 사용하고 있던 브랜치를 떠나 새로운 브랜치로 들어가는것 브랜치 A에서 브랜치 B로 깃을 체크아웃한다 (= 브랜치 B에서 작업을 하겠다고 선언) 2022. 3. 30. [깃/깃허브] 깃허브 이슈 해결할 용도로 브랜치 만들때 브랜치 이름 정하는 방법 ⚠️ 이 포스팅은 핵심 쏙쏙 Git을 공부하고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 포스팅에 해당하는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2주차 2-4 각자 공간에서 작업하기 - Branch - 실습 1. 깃허브에 이슈 등록 2. 해당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새 브랜치를 만들어 작업한다 ⭐️ 브랜치 이름 정하기 prefix: 용도에 따라 prefix를 결정 이슈번호: 깃허브에 등록된 해당 이슈번호 이름: 어떤 기능인지 명시 prefix/이슈번호_이름 2022. 3. 3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