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파이썬으로 파일 생성하고 읽고 쓰기
⚠️ 이 포스팅은 인프런님의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을 공부하고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 포스팅에 해당하는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섹션 9. 파이썬 파일 쓰기 File Write(1-1) File Write(1-2) File Write(1-3) 파이썬에서 파일 생성, 읽기, 쓰기 함수 파일 생성: open(), close() 파일 읽기: read(), readline(), seek() 파일 쓰기: write(), writeline(), writelines() 1. 파일 생성: open 함수, close 함수 open(): 파일을 여는 함수 close(): 파일을 닫는 함수 1.1 open() 함수 모드의 종류: r(read), w(write), a..
2022. 3. 23.
[파이썬] 집합 (집합 선언, 집합에서 자주쓰이는 함수)
⚠️ 이 포스팅은 인프런님의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을 공부하고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 포스팅에 해당하는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섹션 3. 파이썬 기초 자료형 집합(6-1) 1. 집합 선언 1.1 { }안에 원소 넣어 선언 a = {1, 2, 3} print(a, type(a)) # {1, 2, 3} 1.2 함수 set()으로 선언 a = set({1, 2, 3}) print(a, type(a)) # {1, 2, 3} a = set([1, 2, 3]) print(a, type(a)) # {1, 2, 3} 2. 딕셔너리 vs 집합 딕셔너리는 key와 value가 한쌍인 값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형태 dataDict = { 'key': 'va..
2022. 3. 9.
[파이썬] 숫자형 데이터 (연산자, 연산하기, 형 변환하기)
⚠️ 이 포스팅은 인프런님의 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을 공부하고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입니다. ⚠️ 포스팅에 해당하는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섹션 3. 파이썬 기초 자료형 숫자형(1-1) 숫자형(1-2) 1. 숫자형 데이터의 종류 숫자형 데이터는 정수, 실수 복소수형이 있다. 1.1 init (정수형) 1, 2, 3, 4처럼 소수점이 없는 숫자. 정수에는 양의 정수, 0, 음의 정수가 있다. 즉 -1, 0, 1 모두 정수형이다. a = 1 print(type(a)) # 1.2 float (실수형) 정수와 달리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분수도 가능). 3.14, 1.65등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가 실수형이다. a = 3.14 print(type(a)) # b = ..
2022. 3. 8.